2023년 1분기를 끝으로 주주총회 시즌도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그럼 배당금에 대해 알아보자면 의외로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이 독보적이다.
가족과 합류하면 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주총회에서 배당 안건이 통과되면 3048억원의 배당금을 받게 된다.
정이산·구광모·최태원 회장은 2543억, 현대해상 5위 정몽윤 회장은 300억으로 떨어졌다.
이해진 네이버 회장, 이순형 씨아시아그룹 회장 등 재계 20~60위 간부들은 배당금이 1년 전보다 30~8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과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배당금을 절반으로 줄였다.
이재용 회장은 올해 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SDS·삼성화재로부터 배당금을 받는다.
삼성전자는 보통주 361원, 1~3분기 우선주 361원, 4분기 363원 등 연 4회 배당한다.
정의선 현대차 회장도 계열사 7개사로부터 배당금 1140억원을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지급했다.
3위는 구광모 회장(753억원), 4위는 최태원 SK그룹 회장(651억원)이다.
20-22 주식투자일기 ㅎ 돈 얼마나 벌었나요?그 주식투자, 투자자의 필수 코스! 1. banana-press.co.kr 첫 엔 투자는 성공하셨나요? 실패한? 첫 번째 달러 투자가 실패한 후 엔화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1. banana-press.co.kr
개인적으로 국내외 정치, 경제, 부동산, 주식은 부자가 되기 위한 필수 지식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 네 가지가 서로 얽혀 있기 때문에
11월 삿포로로 여행을 가보니 이미 엔화가 훨씬 저렴하고 박스안에서 변동폭이 계속 맴돌고 있으니 지금 12월 16일과 22일
정몽윤 현대해상화재 회장은 386억원으로 5위, CJ 이재현(311억원)과 공동 6위,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31억원)과 공동 7위를 기록했다.
전 회장은 305억원으로 김준기 전 DB그룹 회장과 공동 9위에 올랐다.
저는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으로서 자본이득과 배당주를 꾸준히 쌓아갈 생각입니다.
미국에 비해 한국은 1년에 1~2회 배당금을 지급하거나 삼성전자만 분기당 1회 배당금을 지급한다.
이것은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